•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Elastic Cylindrical Rock Bolts for Tunnel and Slope Stabilisation

    터널 및 사면 안정화를 위한 탄성 실린더형 록볼트 개발 및 성능 평가

    Moorak Son, Beomchang Ji, Sangmin Lee

    손무락, 지범창, 이상민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s such as tunnels, subways, roads, and railways is increasing, making technologies that ensure the stability of rock …

    터널, 지하철, 도로, 철도 등 다양한 지하공간 개발이 증가하면서 암반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기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록볼트는 접착력의 …

    + READ MORE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s such as tunnels, subways, roads, and railways is increasing, making technologies that ensure the stability of rock structures increasingly important. However, traditional rock bolts have limitations, including inconsistent adhesion, long installation times, and environmental concerns, which restrict their ability to guarantee stability.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developed a new elastic cylinder rock bolt with longitudinal incisions. This bolt is designed to immediately adhere to the drilled hole walls upon insertion, providing high support strength without the need for a curing period and minimizing environmental impact. The study presents field experiment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elastic cylinder rock bolt and discusses the results.


    터널, 지하철, 도로, 철도 등 다양한 지하공간 개발이 증가하면서 암반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기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록볼트는 접착력의 불균일, 긴 설치 시간, 환경 오염 우려 등 여러 한계를 지니고 있어 안정성 보장에 한계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탄성 실린더형 록볼트를 새롭게 개발하였다. 이 록볼트는 천공홀에 삽입되자마자 벽면에 밀착해 즉각적으로 높은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경화 시간이 필요 없고 환경적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장 실험을 통해 탄성 실린더형 록볼트의 성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 COLLAPSE
    1 May 2025
  • Experimental Study on the Shear Strength Evaluation of a Three-dimensional Assembled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s

    콘크리트 입체결합 옹벽블록의 전단강도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Sehyun Park, Kyoungyoung Choi, Daesung Jung, Kyeongmo Kim, Hyunkoo Kang

    박세현, 최경영, 정대성, 김경모, 강현구

    In this paper, we propose a three-dimensional assembled wall block in which all blocks in the upper-lower, left-right, and front-back directions are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상-하 블록만 수평 전단키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이 아닌, 상-하, 좌-우 및 전-후의 모든 블록이 결합됨으로써 블록의 전체 단면이 전단에 …

    + READ M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three-dimensional assembled wall block in which all blocks in the upper-lower, left-right, and front-back directions are joined together to resist shear across the entire cross-section of the block, rather than the existing method in which only the upper-lower blocks are supported by horizontal shear keys. The horizontal shear strength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form between the front and back blocks and the friction resistance strength between foundation concrete and blocks were experimentally evaluated, and shear strength estimation formulas for design were presented. By comparing the horizontal shear strength with that of the existing segmental block gravity wall using the shear key method, it was verified that the horizontal shear strength of the proposed three-dimensional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s is very superior. It is thought that the shear strength estimation formula propos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and stability review of segmental block gravity walls using three-dimensional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three-dimensional assembled retaining wall block will provide a good solution for responding to complex disasters due to climate change by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segmental block gravity walls.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상-하 블록만 수평 전단키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이 아닌, 상-하, 좌-우 및 전-후의 모든 블록이 결합됨으로써 블록의 전체 단면이 전단에 저항하는 입체결합 옹벽블록을 제안하였다. 전면블록과 배면블록의 배열 형태에 따른 수평전단강도와 기초콘크리트와 블록간 마찰저항강도를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설계를 위한 전단강도 산정식을 제시하였다. 전단키 방식의 기존 조립식 옹벽블록과 수평전단강도를 비교하여, 제안된 입체결합 옹벽블록의 전단저항강도가 매우 우수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전단강도 산정식은 입체결합 옹벽블록을 사용한 블록쌓기옹벽의 설계와 안정성 검토에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입체결합 옹벽블록은 블록쌓기옹벽의 구조 안정성을 개선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복합재난 대응에도 좋은 해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1 May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