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alysis of the Cause of Settlement in High-speed Railroad Embankment Sections and Proposal of Countermeasures through Prediction of Creep Subsidence Behavior

    고속철도 성토 구간 침하 원인분석 및 Creep 침하 거동 예측을 통한 대책 방안 제안

    Kyungshin Kim, Chanho Yoo, Junho Kim, Seungcheol Baek, Jongju Kim

    김경신, 유찬호, 김준호, 백승철, 김종주

    Since the opening of the Gyeongbu High Speed ​​Railroad and Honam high speed railroad, settlements exceeding the settlement standards have been continuously …

    경부고속철도 및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성토 구간에서 침하 기준치를 상회하는 침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보수비용 증가 및 감속 운행 등의 …

    + READ MORE
    Since the opening of the Gyeongbu High Speed ​​Railroad and Honam high speed railroad, settlements exceeding the settlement standards have been continuously occurring in the embankment sections, which has led to increase maintenance costs and problems such as reduced operation speed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causes of settlements in high-speed railroad embankment sections were analyzed, and in order to predict the creep settlement behavior, which is the main cause of settlement, a large-scale long-term creep test was performed according to Group A, Group B, and stabilized Group B used as fill material for railroad roadbeds. The creep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and the long-term creep behaviors of high speed ​​railroad embankment heights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numerical analysis using the two-dimensional Softclay creep model and the settlement formula proposed by Charles (2008). The embankment height and the abandonment period for high-speed railroad that reflect this were proposed. Currently, most domestic designs do not review the compressive settlement of the embankment itself, so it is judged necessary to design the embankment material to reflect the creep settlement characteristics and embankment height.


    경부고속철도 및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성토 구간에서 침하 기준치를 상회하는 침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보수비용 증가 및 감속 운행 등의 문제가 유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성토 구간에 발생한 침하 원인을 분석하고, 주된 침하 원인인 Creep 침하 거동 예측을 위하여 철도 노반에 성토재로 사용되는 A군, B군, 안정처리된 B군에 대하여 대형 장기 Creep 시험을 수행하였다. Creep 계수를 산출하여, 2차원 Softclay creep 모델을 적용한 수치해석 및 Charles(2008) 제안한 침하량 공식에 적용하여 고속철도 성토 높이별 장기 Creep 거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반영한 고속철도 성토체 높이 및 방치 기간을 제안하였다. 현재 국내 설계에서는 성토체 자체 압축 침하에 대한 검토는 대부분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설계 시 성토제의 특성 및 성토고를 고려한 Creep 침하를 반영한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1 December 2024
  • Establishment of Burial Environment Data and Analysis of Failure Trends in District Heating Pipe

    열수송관 매설환경 데이터 구축 및 파손경향 분석

    Myeongsik Kong, Jaemo Kang, Jinyoung Kim, Sungyeol Lee

    공명식, 강재모, 김진영, 이성열

    District heating pipes are primarily buried in various environments, including under roads, in water sytems, such as rivers and reservoirs, and green …

    열수송관은 주로 도로 하부, 수계(하천 및 저수지), 녹지 등 다양한 환경에 매설되며, 각 환경에 따른 파손 위험이 상이하다. 도로 하부에 매설된 열수송관은 …

    + READ MORE
    District heating pipes are primarily buried in various environments, including under roads, in water sytems, such as rivers and reservoirs, and green spaces, each presenting different damage risks. Pipes under road are prone to higher damage due to repetitive fatigue from road loads, while those in water systems are exposed to increased corrosion risks from high humidity and oxygen supply.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the impact of burial environments on pipe damage by adding environmental attribut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al history of district heating facilities and creating a database. Analysis revealed that the damage frequency in water systems was 0.624 cases/km per year, over 12 times higher than the overall average of 0.051 cases/km per year. The damage frequency in road burial environments was similar to the average, likely because 63% of district heating pipes are buried under roads. Additionally, evaluating four long-term districts indicated that longer usage periods lead to a faster increase in damage frequency in both road and water system environments. This quantitative analysis enhances understanding of the risks associated with district heating pipes near roads and water systems.


    열수송관은 주로 도로 하부, 수계(하천 및 저수지), 녹지 등 다양한 환경에 매설되며, 각 환경에 따른 파손 위험이 상이하다. 도로 하부에 매설된 열수송관은 도로 하중에 의해 반복적 피로 누적 현상이 발생하여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며, 수계 구간은 높은 습도와 산소 공급으로 인해 부식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수송관의 매설환경이 파손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열수송관 설비이력에 매설환경 속성정보를 추가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였다. 관과 매설환경 중첩구간 정보와 보수이력 내 열수송관 매설환경 정보를 분석한 결과, 수계 매설환경에서의 파손 빈도는 연간 0.624건/km로, 전체 평균 파손 빈도인 0.051건/km/year 대비 12배 이상 높았다. 도로 매설환경에서는 평균과 유사한 수준의 파손빈도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전체 열수송관의 63%가 도로 하부에 매설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체 조사대상 구역 중 사용기간이 긴 4개 구역을 별도로 선정하여 사용기간이 매설환경의 파손경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도로 또는 수계 매설환경에서 사용기간이 길수록 파손빈도가 평균대비 더 빠르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인 파손 경향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도로 및 수계 주변 열수송관의 위험성을 이해하고, 특별관리구간에서 선제적 관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열수송관의 장기적 안전성 확보와 유지보수 최적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매설환경에 따라 맞춤형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1 December 2024
  • A Study on Selec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and Field Survey Methods for District Heating Pipe

    열수송관 성능평가인자 선정 및 현장조사 방안 연구

    Myeongsik Kong, Jaemo Kang, Jinyoung Kim, Sungyeol Lee

    공명식, 강재모, 김진영, 이성열

    This study aims to propose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and a field survey plan for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safety, durability, and …

    본 연구는 열수송관의 체계적 성능평가와 안전한 유지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열수송관의 안전성능, 내구성능, 사용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성능평가인자를 선정 및 현장조사 …

    + READ M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and a field survey plan for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safety, durability, and usability of district heating pipes, thereby establishing a systematic performance assessment and safe maintenance approach. Currently, district heating pipes lack the same management standards as other underground infrastructure, underscoring the need for developing evaluation standards to prevent accidents due to aging. To address this, we reviewed existing regulations and performance assessment manuals, referencing evaluation criteria from similar infrastructure, such as water supply systems, to identify key evaluation factors for district heating pipes. Key factors identified include service life, pipe diameter, burial depth, insulation damage, and monitoring system data, all of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safety, durability, and usability of district heating pipes. Additionally, a survey of district energy operator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uitability and data availability of each evaluation facto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actors with high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were classified into essential and optional tasks, concretizing a field survey plan for a systematic pipe performance evaluation. In particular, combining field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s allows efficient data collection and assessment. The proposed evaluation procedures and methods in this study serve as fundamental data to maintain the safety and functionality of district heating pipes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continuous and systematic management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se systems. This research is especially relevant for establishing the district heating pipe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required by 2025.


    본 연구는 열수송관의 체계적 성능평가와 안전한 유지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열수송관의 안전성능, 내구성능, 사용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성능평가인자를 선정 및 현장조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열수송관은 다른 지하시설물에 비해 관리 기준이 미흡하여, 노후화에 따른 사고 예방을 위한 평가 기준의 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관련 법령과 성능평가 매뉴얼을 검토하고, 상수도와 같은 유사 기반시설의 평가 기준을 참고하여 열수송관의 주요 평가 인자를 도출하였다. 주요 평가 인자로는 사용기간, 관경, 매설깊이, 보온재 손상, 감시시스템 정보 등이 있으며, 열수송관의 안전성, 내구성, 사용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항목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집단에너지 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평가인자의 적합성과 데이터 확보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데이터 확보가 용이하고 실효성이 높은 인자들을 기본과업과 선택과업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통해 열수송관의 성능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조사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특히 현장조사와 사전조사를 병행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과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평가 절차와 방안은 열수송관의 안전성 및 기능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하며, 향후 열수송관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및 성능 개선 작업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기반시설관리법에 따라 2025년까지 마련되어야 하는 열수송관 성능평가 기준 수립 시 활용 가능한 연구로 판단된다.

    - COLLAPSE
    1 December 2024
  • Case Study on Stability Evaluation of Retaining Wall Structures Using 3D Lidar Measurement

    3차원 라이다 계측을 활용한 옹벽 구조물 안정성 평가 사례

    Joohee Won, Kwangkuk Ahn, Nagyoung Kim, Jongnam Do

    원주희, 안광국, 김낙영, 도종남

    This paper analyzes case studies of using 3D LiDAR technology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nd evaluates its utility and limitations. LiDAR technology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라이다(LiDAR) 기술을 활용한 구조물 안정성 평가 사례를 분석하고, 라이다 기술의 유용성과 한계점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라이다 기술이 …

    + READ MORE
    This paper analyzes case studies of using 3D LiDAR technology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nd evaluates its utility and limitations. LiDAR technology is shown to be an efficient, non-contact tool that accurately measures structural deformation and damage, as demonstrated in case studies such as the Pohang-Yeongdeok Highway and Nungan Overpass. However, the analysis also highlights limitations, including the time-consuming manual data analysis process and the high cost of LiDAR systems. Additionally, LiDAR struggles to detect internal damage or material changes. To address these issues, the development of AI-based automated software is suggested, which could expedite data processing. Further advancements are expected in combining LiDAR with other sensor technologies for more comprehensive structural analysis, as well as in reducing equipment costs and increasing portability to expand its commercial use.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라이다(LiDAR) 기술을 활용한 구조물 안정성 평가 사례를 분석하고, 라이다 기술의 유용성과 한계점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라이다 기술이 구조물의 변형 및 손상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비접촉식 계측 도구로서 효율성을 입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구조물의 상태를 신속히 평가할 수 있음을 포항-영덕 고속도로 및 영동선 능안육교 사례에서 확인하였다. 하지만, 라이다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분석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비용이 높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내부 손상이나 재료 특성까지 감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I 기반의 자동화 소프트웨어 개발이 필요하며, 라이다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장비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이 요구된다. 향후 발전 방향으로는 다른 센서와의 결합을 통해 보다 종합적인 구조물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1 December 2024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egional Urban Risk Assessment Model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도시 위험성 평가 모델 개발 및 적용

    Youngsuk Lee, Jinkwon Yoo, Jinyoung Won, Youngkarb Song

    이영석, 유진권, 원진영, 송영갑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disaster risk assessment model tailored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eoul. The existing national government’s evaluation …

    본 연구는 서울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위험과 대응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도시 위험성 평가 모델과 재난 유형별 세부지표를 제시하여 보다 정교한 …

    + READ MORE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disaster risk assessment model tailored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eoul. The existing national government’s evaluation system has limitations in fully reflecting the unique disaster and accident traits of Seoul. To address this limitation, this study proposes a customized risk assessment model that integrates four key indicators: hazard, vulnerability, exposure, and mitigation. The model identifies 23 priority disaster types including emerging and complex disasters that need to be managed by Seoul and calculates detailed risk and mitigation grades for each district. Based on this model, th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of Seoul’s 25 districts can be systematically analyzed, enabling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and proactive response strateg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is model enhances a preventive approach to disaster management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assessment tool applicable not only to Seoul but also to other areas.


    본 연구는 서울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위험과 대응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도시 위험성 평가 모델과 재난 유형별 세부지표를 제시하여 보다 정교한 도시 위험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국가 단위 위험성 평가 모델과 세부지표는 서울과 같은 복잡한 도시 환경의 재난 및 안전사고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위해성, 취약성, 노출성, 저감성이라는 네 가지 핵심 지표를 통합한 맞춤형 위험성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 지역 특성을 고려한 재난 유형별 세부지표를 도출하였다. 서울시에서 우선적으로 관리해야 할 23가지 주요 재난 유형(신종 및 복합재난 포함)을 도출하였으며, 기초자치구별로 세부적인 위험도 및 저감도 등급을 산출함으로써 각 지역의 재난 대응 역량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평가 결과는 서울시 25개 자치구별로 재난 대응 역량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며,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과 예측기반의 대응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서울뿐만 아니라 다른 대도시에도 적용 가능한 유용한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1 December 2024
  • Method for Determining Maximum Dry Unit Weight of Relative Density Using an Air Hammer

    에어해머를 이용한 상대밀도의 최대 건조단위중량 결정 방법

    Seonwoo Jeong, Kwangkuk Ahn

    정선우, 안광국

    To determine relative density,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the minimum and maximum dry unit weights. The methods proposed by Bowles and …

    상대밀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최소 및 최대 건조단위중량이 결정되어야 한다. 최대 건조단위중량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Bowles가 제시한 방법과 자동다짐시험기에 의한 방법이 ASTM이 제시한 방법 …

    + READ MORE
    To determine relative density,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the minimum and maximum dry unit weights. The methods proposed by Bowles and those using an automatic compaction device yield higher maximum dry unit weights compared to the ASTM method. In this study, the Bowles method was considered. Since the Bowles method uses a rubber mallet, the maximum dry unit weight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experimenter’s individual differences and proficiency. To mitigate this variability, indoo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using an air hammer as a mechanical alternative to the rubber malle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dry unit weight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blows, air pressure, and compaction layers when using the air hammer.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Bowles method using an air hammer is a valid experimental method for determining the maximum dry unit weight, achieving higher values compared to using a rubber mallet.


    상대밀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최소 및 최대 건조단위중량이 결정되어야 한다. 최대 건조단위중량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Bowles가 제시한 방법과 자동다짐시험기에 의한 방법이 ASTM이 제시한 방법 보다 높은 최대건조단위중량을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Bowles 방법을 고려하였으며, Bowles가 제시한 방법은 고무망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실험자의 개인차 및 숙련도에 따라 최대 건조단위중량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실험자의 개인차 및 숙련도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무망치를 대신하여 기계화된 방법으로 에어해머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에어해머의 타격횟수, 공기압력 및 다짐층에 따라 최대 건조단위중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에어해머를 사용하는 경우가 고무망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높은 최대 건조단위중량이 확인됨에 따라 에어해머를 사용한 Bowles 방법이 최대 건조단위중량을 결정하는 실험방법으로 타당하다 판단된다.

    - COLLAPSE
    1 December 2024
  • Numerical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 in Stream Meander of the Downstream of Dam Using a Two-dimensional Model

    2차원 수리모형을 이용한 댐 직하류 만곡부에서의 흐름 및 하상변동 해석

    Kidoo Park, Yeongjeong Seong, Sewook Oh, Younghun Jung

    박기두, 성연정, 오세욱, 정영훈

    When river flows are blocked by dam, erosion and deposition are limit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it is very important …

    댐에 의해 하천흐름이 차단되는 경우, 댐 직하류에서는 침식과 퇴적 양상이 일반적인 하천흐름 양상과 다르며, 제한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유사이송으로 인한 침식과 퇴적에 따른 …

    + READ MORE
    When river flows are blocked by dam, erosion and deposition are limited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channel plan for a stable stream that takes into account erosion and deposition caused by sediment transport. In this study, the two-dimensional HEC-RAS sediment transport simulation for the Wicheon, the downstream of Gunwi dam located in the Nakdong watershed,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bed changes. At the meandering exit there is a very high velocity impact zone, which can be very vulnerable to erosion of the stream bed. Using the designed channel cross sections in the river master plan, bed changes to erosion and deposition for the channel cross section of the 80-year and 100-year frequency flood discharges were simulated. In the case of the downstream of the Gunwi dam, due to its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high velocities were expected to occur at the impact zone in the meander, expecting in the greatest erosion due to the increase of tractive force. However, in the case of the downstream of Gunwi dam, it was confirmed that very stable channel was formed because the armoring was considerably carried out by the coarse bed materials such as gravel.


    댐에 의해 하천흐름이 차단되는 경우, 댐 직하류에서는 침식과 퇴적 양상이 일반적인 하천흐름 양상과 다르며, 제한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유사이송으로 인한 침식과 퇴적에 따른 하상변동이 고려된 안정하도로 하도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에 위치한 군위댐 직하류인 위천에 대한 2차원 HEC-RAS 유사이송 모의를 수행하였다. 본 과업구간 내에는 만곡에 의한 횡방향 유속과 수위차이가 발생하여 만곡이 끝나는 출구점에는 유속이 매우 빠른 수충부가 존재하여 하도의 침식에 대해 매우 취약할 수 있다. 위천 하천기본계획의 하도 계획단면을 이용하여 80년 및 100년 빈도 계획홍수량에 대한 하도 단면의 침식과 퇴적에 대한 하상변동 양상을 모의하였다. 군위댐 직하류의 경우, 동수역학 특성상 만곡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수충부지점에서 고유속흐름이 발생되어 소류력 증가로 인한 침식이 가장 크게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군위댐 하류의 경우, 자갈과 같은 굵은 하상재료에 의해 장갑화가 상당히 진행되었기 때문에 침식의 우려가 매우 작은 안정하도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COLLAPSE
    1 Decembe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