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ave Scattering at the Offshore Structure with Partial Reflecting Boundary Using Polynomial Approximation

    다항식 근사해법을 이용한 부분 반사율을 갖는 해상구조물에서의 파랑의 산란에 관한 연구

    Jinhyeaok Jang, Hojin Lee, Sungduk Kim

    장진혁, 이호진, 김성덕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ave field around a breakwater when a coastal structure with partial reflectivity is installed in the sea area. …

    본 연구는 부분 반사율을 갖는 해상 구조물이 해역에 설치될 때 방파제에 기인한 주변의 파랑장을 조사한 것이다. 기본적인 이론은 프레넬 적분과 다항식 근사해법을 …

    + READ M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ave field around a breakwater when a coastal structure with partial reflectivity is installed in the sea area. The basic theor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cattered waves in the area behind the breakwater by applying the Fresnel integral and polynomial approximation method. Afterwards,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numerical results of the boundary element method and the polynomial approximation method, which are numerical solution methods based on boundary integral equations. The offshore structure was analyzed for its length ratio to wavelength and the scatter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ncident angle of the wave. The Fresnel integral and polynomial approximation solutions gave perfect agreement in the calculation results when the wave was incident in both the normal and oblique directions. The polynomial approximation and numerical solutions were almost in agreement except for a slight difference behind the breakwater. When using a numerical solution, the calculation time was reduced by about 30% compared to when using the Fresnel integ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esent the influence of scattering caused by each structure when placing breakwaters and offshore structures during port construction, and can provide information on setting specifications for breakwater design and interaction with surrounding waters.


    본 연구는 부분 반사율을 갖는 해상 구조물이 해역에 설치될 때 방파제에 기인한 주변의 파랑장을 조사한 것이다. 기본적인 이론은 프레넬 적분과 다항식 근사해법을 적용하여 방파제 배후 영역에서의 산란파에 대하여 비교·분석을 하였다. 이후 다항식 근사해법과 경계적분방정식을 기본으로 하는 수치해법인 경계요소법의 수치결과와도 비교·분석하였다. 해상 구조물은 도제 형태로서 파장에 대한 길이비와 파랑의 입사각도 변화에 따른 산란계수를 분석하였다. 파랑이 법선방향 및 경사진 방향으로 입사할 때 모두에서 프레넬 적분과 다항식 근사해법이 계산 결과 값이 완벽히 일치하였다. 다항식 근사해법과 수치해의 경우 방파제 배후에서의 약간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거의 일치하였다. 수치해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레넬 적분을 사용한 경우보다 약 30%의 시간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항만 걸설 시 방파제 및 해상 구조물을 배치할 때 각각의 구조물로 인하여 발생되는 산란의 영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방파제 설계에 대한 제원 설정과 주변해역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COLLAPSE
    1 September 2025
  • Evaluation of Flexural Capacity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Members by Volume Fraction of Steel Fiber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강섬유보강콘크리트 부재 휨 성능 평가

    Inho Park, Daehee Kang, Sunhee Kim, Wonchang Choi

    박인호, 강대희, 김선희, 최원창

    In this study, the flexural performance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SFRC) beams incorporating hooked-end steel fiber was evaluated through flexural test, and …

    본 연구에서는 양단 후크형 강섬유를 혼입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보의 휨 실험을 통해 휨 성능을 평가하고,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휨 내력 예측식을 …

    + READ MORE
    In this study, the flexural performance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SFRC) beams incorporating hooked-end steel fiber was evaluated through flexural test,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isting flexural strength prediction model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The main variable was the fiber volume fraction, with mixing ratios of 0%, 0.5% and 1.0% by volume of concrete. Material test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mechanical properties: although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d due to fiber ball effect, both flexural strength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improved. The flexural test of SFRC beams demonstrated that the maximum load, deflection, and ductility index increased with higher fiber volume frac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th the existing flexural capacity prediction equa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lexural capacity through the reinforcement effect of more than 57.59% of the tensile force caused by tensile reinforcement when reinforced with more than 0.5% of steel fiber.


    본 연구에서는 양단 후크형 강섬유를 혼입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보의 휨 실험을 통해 휨 성능을 평가하고,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휨 내력 예측식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실험 결과와 비교를 진행하였다. 변수는 강섬유의 혼입률이며, 콘크리트 체적비의 0%, 0.5%, 1.0%만큼 혼입하였다.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재료시험 결과, 압축강도의 향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휨 강도와 쪼갬 인장강도는 모두 증가하였다.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보의 휨 실험을 통해 강섬유 혼입률이 증가함에 따라 부재의 최대하중, 처짐량, 연성지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보의 휨 실험을 통해 강섬유의 혼입으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연성 거동을 유도하는 것에 있어 효과적인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휨 내력 예측식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한 결과, 강섬유 혼입률 0.5% 이상 혼입하여 보강하였을 경우 인장철근에 의한 인장력의 57.59% 수준 이상의 보강 효과를 통해 휨 내력을 제고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1 September 2025
  • Operational Principles and Uplift Mitigation Effects of a Passive Groundwater Drainage System for Enhancing Drainage of Underground Structures

    지하 구조물의 비배수성 향상을 위한 지하수 자연배수 시스템의 작동 원리 및 부력 저감 효과 분석

    Bokrae Cho, Hyunchol Cho, Suwon Son

    조복래, 조현철, 손수원

    Uplift pressure acting on underground structures has emerged as a critical factor affecting structural stability in urban areas where rising groundwater levels …

    지하 구조물에 작용하는 양압력은 지하수위 상승과 더불어 구조물의 부상, 균열, 단차 이동 등 다양한 안정성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

    + READ MORE
    Uplift pressure acting on underground structures has emerged as a critical factor affecting structural stability in urban areas where rising groundwater levels can lead to buoyancy, differential settlement, and structural cracking. In this study, we propose a concept of a passive groundwater drainage system that autonomously discharges groundwater by utilizing hydraulic head differences, without relying on external energy sources. The system consists of three key components, which are intake, drainage path, and outlet. It would be expected to ensure components enable stable control of internal water levels and continuous discharge of confined groundwater. To prove the proposed concept, a theoretical analysis based on Darcy’s law and uplift pressure estim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ystem’s hydraulic behavior. Furthermore, a pipe diameter design equation was proposed by incorpo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harge flow rate and uplift force, thereby enabling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system to directly respond to buoyancy control demands. As a result, the proposed system is evaluated as an alternative technology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foundation stability of underground structures in urban areas and preventing ground settlement. It has also been confirmed to exhibit excellent performance in undrained-type structures, serving as an effective counterpart to conventional forced drainage systems.


    지하 구조물에 작용하는 양압력은 지하수위 상승과 더불어 구조물의 부상, 균열, 단차 이동 등 다양한 안정성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배수 시스템의 필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에너지원 없이 수두차에 의해 자율적으로 작동하는 지하수 자연배수 시스템의 개념을 제안하고, 그 이론적 타당성과 구조물 안정성 확보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유입부, 배수통로, 배출부의 세 가지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구조물 내부 정체수위를 외부로 자연스럽게 유도함으로써 지속적인 수위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Darcy의 법칙과 양압력 산정식을 활용하여 시스템의 작동원리를 수리학적으로 해석하고, 배관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유량과 부력의 상호작용을 반영한 직경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지하수 유출 능력과 부력 저감 효과 간의 연계성을 정량적으로 설명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시스템은 도시 지하 구조물의 기초 안정성 향상과 지반침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대안 기술로 평가되며, 기존 강제배수 방식에 대응하여 비배수 구조물 건설에도 우수한 성능을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1 September 2025
  • Analysis of the Dynamic Behavior of Micropiles Installed in Slopes

    비탈면지반에 설치된 마이크로파일의 동적거동분석

    Yoonyang Kim, Kwangkuk Ahn

    김윤양, 안광국

    Most studies on the bearing characteristics of micropiles have been limited to static or cyclic loading conditions, with insufficient attention given to …

    마이크로파일의 지지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는 대부분 정적 하중 조건 및 반복 하중 조건에 국한되어 확인되었을 뿐 지진과 같은 동적 하중 조건을 고려한 …

    + READ MORE
    Most studies on the bearing characteristics of micropiles have been limited to static or cyclic loading conditions, with insufficient attention given to dynamic loading such as earthquakes. In this study, 1g shaking table 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micropiles installed in sandy slopes and the surrounding soil under seismic loading,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micropiles as a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slop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icropiles installed in slopes exhibited combined behavior of both active and passive piles, and that triple-row micropile reinforcement provided greater seismic improvement compared to single-row reinforcement.


    마이크로파일의 지지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는 대부분 정적 하중 조건 및 반복 하중 조건에 국한되어 확인되었을 뿐 지진과 같은 동적 하중 조건을 고려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진 하중 하에서 비탈면지반에 설치된 마이크로파일과 비탈면지반과의 동적상호작용을 분석하고 비탈면지반의 내진 보강공법으로 마이크로파일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1g 진동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비탈면에 지반에 설치된 마이크로파일은 주동말뚝과 수동말뚝 조건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며, 3열 마이크로파일이 1열 마이크로파일에 비해 내진 보강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 COLLAPSE
    1 September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