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tructural Stability Assessment of Trenchless Pipe Jacking in Urban Areas Using Staged FEM Analysis
도심지 비개착 추진관 시공의 단계별 유한요소 해석을 통한 구조 안정성 검토
-
Jiyeol Choi, Kiil Song
최지열, 송기일
- This study evaluates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long-term serviceability of a trenchless jacking pipe installed beneath a main road in the Public …
본 연구는 공공주택지구 조성 현장의 간선도로 하부에 비개착 추진관 공법이 적용된 구간을 대상으로, 시공단계를 반영한 수치해석을 통해 구조물의 연직 및 수평변위에 대한 …
- This study evaluates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long-term serviceability of a trenchless jacking pipe installed beneath a main road in the Public Housing District. The assessment is carried out through staged numerical simulations that consider vertical and horizontal displacements during each construction phase.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EM) was conducted using MIDAS GTS NX, modeling seven construction stages and one service stage. The ground was represented using a Mohr-Coulomb elastic-plastic model, and the jacking pipe was modeled with shell elements. The target structures included the road deck, bridge foundation, and jacking pipe. Displacement values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against allowable limits. The simulation showed that vertical displacements were 1.232 mm for the road deck (4.9% of the 25 mm limit), 0.976 mm for the bridge foundation (4.8% of 20 mm), and 2.41 mm for the jacking pipe (8.0% of 30 mm), indicating safe conditions well within 10% of allowable thresholds. Notably, displacements during intermediate construction stages were lower than those observed in the final service stage, suggesting that stepwise loading contributed to stress redistribution. Furthermore, a comparison with field measurements yielded a maximum deviation of ±3%, confirming the reliability of the numerical model. The staged analysis approach provides a more accurate prediction of real structural behavior compared to service-stage-only simulations. For trenchless construction in urban environments, integrating stage-wise numerical analysis with field monitoring data is essential to ensuring structural safety and performance.
- COLLAPSE
본 연구는 공공주택지구 조성 현장의 간선도로 하부에 비개착 추진관 공법이 적용된 구간을 대상으로, 시공단계를 반영한 수치해석을 통해 구조물의 연직 및 수평변위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고, 구조물의 장기적인 공용성 확보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해석은 MIDAS GTS NX를 이용한 3차원 유한요소법(FEM) 기반으로 수행되었으며, 총 7단계의 시공단계와 1단계의 공용단계를 포함하였다. 지반은 Mohr-Coulomb 탄소성 모델로 구성하였고, 추진관은 Shell 요소로 모델링하여 지반–구조물 간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모사하였다. 대상 구조물은 도로부, OO 교량 기초부, 추진관으로 설정하였으며, 구조물별 변위를 허용기준과 비교하여 안전성을 정량 평가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도로부는 최대 1.232mm(허용기준 25mm 대비 4.9%), 교량 기초부는 0.976mm(20mm 대비 4.8%), 추진관은 2.41mm(30mm 기준 대비 8.0%)로 모두 허용기준 대비 10% 이하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구조물에서 변위는 공용단계보다 시공 중간 단계에서 작게 나타나, 하중의 단계적 재하가 구조물 거동 안정화에 기여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장 계측값과 해석 결과를 비교한 결과, ±3% 이내의 오차 범위에서 일치하여 해석모델의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시공단계를 반영한 다단계 해석이 구조물의 실제 거동을 보다 정밀하게 반영하며, 공용단계 단일 해석만으로는 간과될 수 있는 시공 중 변형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도시 지하 매설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 시에는 단계별 수치해석과 실측 계측 결과의 병행 분석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
Structural Stability Assessment of Trenchless Pipe Jacking in Urban Areas Using Staged FEM Analysis
-
-
Analysis of the Effects of Rainfall-Induced Groundwater Level Rise on Ground Stability Using Numerical Analysis
수치해석을 이용한 강우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이 지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Sangyun Kim, Heesu Kim, Youngcheol Hwang, Hoki Ban
김상윤, 김희수, 황영철, 반호기
- Due to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localized heavy rainfall events have increased, leading to a rise in ground failure …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강우의 증가로 지반 붕괴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 때 강우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은 지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
- Due to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localized heavy rainfall events have increased, leading to a rise in ground failure incidents. In such cases, groundwater level rise caused by rainfall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ground stability.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rainfall-induced groundwater level rise and ground stability based on an actual ground failure case. Field data collected from installed groundwater level gauges were utilized, and bac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2024, when the ground was considered stable, in order to estimate the soil properties (permeability coefficients).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mmercial geotechnical software Plaxis-2D. The results of the back analysis showed an average error rate of 0.19% between the calculated and measured groundwater levels for each section, indicating that the estimated permeability coefficients were reliable and applicable to the conditions at the time of failure. Based on these properties, additional nume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assess groundwater level rise at the time of failure.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 maximum daily rainfall during the 2024 analysis period was higher than that during the 2023 failure event, the cumulative three-day rainfall was greater in 2023. Consequently, the average groundwater level rise at the time of failure was 0.88 m, compared to 0.49 m during the peak rainfall in 2024.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umulative rainfall, rather than single-day intensity, has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groundwater level rise, and that rapid increases in groundwater level can lead to ground instability.
- COLLAPSE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강우의 증가로 지반 붕괴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 때 강우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은 지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지반 붕괴 사례를 대상으로 강우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과 지반 안정성 간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현장에 설치된 지하수위계의 계측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지반이 안정된 2024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역해석을 수행하여 지반 투수계수를 산정하였다. 수치해석은 상용 지반해석 프로그램인 Plaxis-2D를 활용하였다. 역해석 결과 각 단면의 지하수위에 대한 수치해석값과 계측값 간의 평균 오차율은 0.19%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산정된 투수계수가 붕괴 시점의 지하수위 분석에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붕괴 시점에 대한 지하수위 상승을 분석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역해석 기간(2024년) 중 최대 일일 강우량은 붕괴 시점(2023년)의 일일 강우량보다 높았지만, 3일간 누적 강우량은 붕괴 시점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붕괴 시점의 평균 지하수위 상승폭이 0.88m로, 역해석에 사용된 최대 강우 일자의 평균 상승폭인 0.49m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단일 강우강도보다 누적 강우량이 지하수위 상승에 더 크게 작용하며, 급격한 지하수위 상승이 지반 안정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Analysis of the Effects of Rainfall-Induced Groundwater Level Rise on Ground Stability Using Numerical Analysis
-
-
Influence of Grain Size Distribution on the Dynamic Behavior of Pile Groups under Seismic Loading in Sandy Soils
지진하중을 받는 무리말뚝의 동적거동에 사질토의 입도분포가 미치는 영향
-
Kwangheui Park, Kwangkuk Ahn
박광희, 안광국
- Dynamic p–y curves, which are used to predict the dynamic behavior of pil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seismic …
말뚝의 동적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확인되는 말뚝의 동적 p-y 곡선은 주로 지진파의 주파수 특성 및 지반의 상대밀도에 초점을 두었을 뿐 지반의 동적특성에 …
- Dynamic p–y curves, which are used to predict the dynamic behavior of pil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seismic waves and the relative density of soils. However, limited research has considered the influence of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which are key factors affecting the dynamic properties of soils. In this study, 1g shaking table tests were performed on pile groups installed in sandy grounds with varying grain size distributions to examine their effect on the dynamic behavior of pile groups subjected to seismic loading.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relative density and grain size distribution parameters, namely the uniformity coefficient and effective grain size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ynamic p–y curves of the pile groups, as well as their maximum lateral displacement,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 COLLAPSE
말뚝의 동적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확인되는 말뚝의 동적 p-y 곡선은 주로 지진파의 주파수 특성 및 지반의 상대밀도에 초점을 두었을 뿐 지반의 동적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반을 구성하는 입자의 크기와 분포를 고려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진하중을 받는 무리말뚝의 동적거동에 사질토의 입도분포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입도분포가 다른 지반에 설치된 무리말뚝에 대하여 1g 진동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지반의 상대밀도 및 입도분포 특성인 균등계수, 유효입경이 무리말뚝의 동적 p-y 곡선 및 무리말뚝의 최대 수평변위, 휨모멘트, 전단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Influence of Grain Size Distribution on the Dynamic Behavior of Pile Groups under Seismic Loading in Sandy Soils
-
-
Applicability of InSAR for Monitoring Ground Movements in Reclaimed Land
InSAR 기법의 간척 현장 적용성 검토
-
Junbeom An, Donggyou Kim, Chulhee Lee, Dongku Kim
안준범, 김동규, 이철희, 김동구
- Land reclamation projects inevitably induce consolidation of soft ground due to filling and embankment loading, which may lead to residual settlement and …
간척사업은 성토 및 매립을 통해 하부 연약지반의 압밀침하를 유발하고, 시공 이후 잔류침하로 인해 상부 시설물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시공 품질 관리와 …
- Land reclamation projects inevitably induce consolidation of soft ground due to filling and embankment loading, which may lead to residual settlement and subsequent structural distress after construction. To ensure construction quality and evaluate long-term serviceability, the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InSAR) technique has emerged as a promising tool for continuous, wide-area monitoring of ground defor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satellite-based InSAR techniques for settlement monitoring in reclaimed land. A Persistent Scatterer InSAR (PS-InSAR) analysis was first performed using Sentinel-1 C-band SAR images acquired between 2017 and 2025 over the western container terminal site of the Busan New Port, Republic of Korea, to identify stable reference ground control points. Based on this reference points, three time-series InSAR algorithms (SBAS; Small Baseline Subset, E-SBAS; Enhanced SBAS, E-PS; Enhanced PS-InSAR) were applied with varying temporal configurations to assess their monitoring applicability.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s, rapid surface deformation caused severe coherence loss and phase discontinuities, preventing stable interferometric observations. Although the E-PS technique yielded lower spatial density of observations, it provided a clearer settlement trend and stronger agreement with ground-based measurements compared with SBAS and E-SBAS. After construction, the coherence and observation density markedly improved across all methods, even the E-PS results exhibited consistent coverage throughout the site. These findings confirm that PS-based InSAR techniques are more effective than DS-based approaches for reliably capturing long-term settlement behavior in reclaimed areas. For accurate interpretation of InSAR monitoring, however, a prior knowledge of construction methods, schedules, subsurface conditions, and underlying deformation mechanisms remains essential.
- COLLAPSE
간척사업은 성토 및 매립을 통해 하부 연약지반의 압밀침하를 유발하고, 시공 이후 잔류침하로 인해 상부 시설물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시공 품질 관리와 장기적인 사용성 평가를 위해 넓은 영역의 지표침하를 장기간 상시 계측할 수 있는 InSAR(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기법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을 활용한 InSAR 기법의 간척 현장 지표변위 모니터링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부산신항 서컨테이너터미널 부지를 대상으로 2017년부터 2025년까지의 Sentinel-1 위성 C-band SAR 영상을 이용한 PS(Persistent Scatterer)-InSAR 분석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참조 기준점을 선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세 가지 시계열 InSAR 분석 기법(SBAS; Small Baseline Subset, E-SBAS; Enhanced SBAS, E-PS; Enhanced PS-InSAR)을 분석기간을 달리하여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성토 및 지반개량공법이 적용된 시기에는 단기간에 큰 변위가 발생하여 긴밀도의 저하와 위상 불연속으로 인해 안정적인 관측이 어려웠다. 긴밀도가 높은 PS를 활용한 E-PS 기법의 경우 관측 밀도는 낮으나 SBAS, E-SBAS 기법에 비해 침하 추세가 뚜렷하고 실제 계측치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공이 완료되어 나대지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는 모든 기법에서 관측 밀도가 높아지며, E-PS 기법 역시 대상부지 전역에서 충분히 많은 수의 관측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간척지를 대상으로 지표변위를 장기 모니터링함에 있어 위성 InSAR 기법은 충분히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InSAR 관측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 대상 지역의 시공 방법과 시공 일정, 지반 조건 및 지표 변위 발생 메커니즘 등에 대한 사전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
Applicability of InSAR for Monitoring Ground Movements in Reclaimed Land
-
-
A Numerical Study on Stress Variation in the Surrounding Ground of a District Heating Pipe due to Ground Degradation
수치해석을 이용한 열수송관 주변지반 열화로 인한 응력변화에 관한 연구
-
Jaemo Kang, Sangyun Kim, Heesu Kim, Hoki Ban
강재모, 김상윤, 김희수, 반호기
- To elucidate the behavior of district-heating pipes buried beneath road pavements—key elements of urban infrastructure—we performed numerical analyses with PLAXIS 2D, varying …
도시 기반 시설의 핵심 구성 요소인 매설관 중 도로포장 하부에 매설된 열수송관의 거동을 규명하기 위해 매설깊이비(H/D), 매설관 직경(D), 되메움층의 열화율을 변수로 설정하여 …
- To elucidate the behavior of district-heating pipes buried beneath road pavements—key elements of urban infrastructure—we performed numerical analyses with PLAXIS 2D, varying the burial-depth ratio (H/D), pipe diameter (D), and degree of backfill degradation. Pipe-soil contact pressure and hoop stress were evaluated. Results show that increasing burial depth reduces both stresses overall; the contact pressure reaches a maximum at the crown and decreases along the shoulders to a minimum near the springline. Larger pipe diameter and higher backfill degradation further lower the stress levels. Thus, the pipe response is strongly governed by the relative stiffness and confinement of the surrounding soil, highlighting the need for appropriate burial depth and sustained backfill properties.
- COLLAPSE
도시 기반 시설의 핵심 구성 요소인 매설관 중 도로포장 하부에 매설된 열수송관의 거동을 규명하기 위해 매설깊이비(H/D), 매설관 직경(D), 되메움층의 열화율을 변수로 설정하여 매설관과 주변 토체 간의 상호 응력, 후프응력을 상용지반해석프로그램인 Plaxis 2D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매설깊이가 증가할수록 두 응력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고 매설관과 토체 간의 응력은 크라운에서 최대값을 보인 뒤 어깨면을 따라 스프링라인에서 최소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설관의 직경과 되메움층의 열화율에 따라 응력이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매설관의 거동은 주변 토체의 상대강성과 구속특성에 영향을 크게 받으며, 적정 매설 깊이의 선정과 되메움층의 물성 관리가 필수적이다.

-
A Numerical Study on Stress Variation in the Surrounding Ground of a District Heating Pipe due to Ground Degrad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